MariaDB는 MySQL의 포크(Fork)로 2009년 처음 발표된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RDBMS)입니다. 오늘은 주요 MariaDB 버전의 역사와 특징을 알아봅니다.

 

 

1. 초기 버전

MariaDB 5.1 (2009):

MySQL 5.1 기반으로 출시.

MySQL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시작된 MariaDB의 첫 버전.

새로운 스토리지 엔진인 Aria(기존 MyISAM의 대체) 추가.

MariaDB 5.2 (2010):

성능 및 확장성을 개선.

플러그인 아키텍처 강화.

SphinxSE(검색 엔진)와 새로운 스토리지 엔진 추가.

MariaDB 5.3 (2011):

쿼리 성능 및 옵티마이저 개선.

분산 쿼리 지원 추가.

 

 

2. 주요 성숙 단계

MariaDB 5.5 (2012):

MySQL 5.5와 호환성 유지.

InnoDB 스토리지 엔진 강화 및 성능 최적화.

파라렐 리플리케이션(병렬 복제) 지원.

MariaDB 10.0 (2014):

MySQL과의 호환성에서 독립적으로 발전.

MySQL 5.6 기반 일부 기능 통합.

Galera Cluster 통합(고가용성을 위한 클러스터링).

새로운 저장소 엔진 Connect 및 Cassandra 지원.

MariaDB 10.1 (2015):

데이터 암호화(Transparent Data Encryption) 지원.

성능 스키마 개선.

버퍼 풀 및 플러그인 최적화.

 

 

3. 최근 기능 확장

MariaDB 10.2 (2017):

JSON 지원.

CTE(Common Table Expressions)와 윈도우 함수 도입.

MyRocks 스토리지 엔진(MySQL의 RocksDB 기반) 통합.

MariaDB 10.3 (2018):

Oracle PL/SQL 호환성 제공.

시스템 버전화 테이블(System-Versioned Tables) 도입.

새로운 데이터 유형(ENUM 및 JSON_TABLE) 지원.

MariaDB 10.4 (2019):

사용자 및 권한 관리 개선.

복제 성능 최적화.

갤러 클러스터 4.x 업데이트.

 

 

4. 최신 버전

MariaDB 10.5 (2020):

더 빠른 데이터 삽입 및 업데이트.

GTID 기반 복제 및 세분화된 복제 지원.

MariaDB 10.6 (2021):

기본 UTF8MB4 인코딩 채택.

임시 테이블 개선.

MariaDB 10.7 (2021):

JSON_TABLE 기능 강화.

JSON 데이터 처리 성능 개선.

MariaDB 10.8 (2022):

원격 스토리지 엔진 강화.

새 테이블 압축 옵션 추가.

MariaDB 10.9, 10.10, 10.11 (2022-2023):

지속적인 성능 향상 및 안정성 개선.

클라우드 친화적 기능 추가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