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개요

OpenStack 1편에서 이어집니다.

지난 설명에서 오픈스택은 총 3가지 노드가 있다고 말했었는데요~


2. Node 종류

2-1. Compute Node

Nova와 Neutron Agent가 실행되어 실제 VM이 동작합니다. 실제 Neutron 서비스는 Network Node에 있죠.

2-2. Network Node

Neutron 서비스(에이전트)가 실행됩니다. 이제 따라 VLAN, DHCP, VPN, vFW, vLB, vRouter 등이 가능하게 됩니다. 이 Neutron은 SDN의 첫 단계를 구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죠. 데이터 센터 내의 네트워크를 구성한 셈이니까요. 이후 단계로는 WAN 구간 구현, 백본망 구현, 전송망(통신망) 구현 등이 있겠구요.

2-3. Control Node

그 외의 모든 서비스들이 이곳에 위치합니다. 그리고 API를 통해 전체적인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죠. 이 중 Network Node의 Neutron Agent, 그리고 Control Node의 Nova-compute Agent 자체는 죽어도 서비스에 영향은 없습니다. 다만 신규 생성이나 리사이즈 등 관리적인 문제만 발생할 뿐입니다.

그러면 이제 각 Node간 Network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알아볼께요.


3. Network 종류

3-1. Management Network

각 요소 간 네트워크입니다. 서로 API를 호출하는데 사용합니다. Compute, Network, Control Node, 그리고 스토리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.

3-2. Private Network

VM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네트워크입니다. GRE, VxLAN 등의 기술이 사용됩니다. Compute, Network Node 간에 연결되어 있습니다. 이 Private Network는 Tunnel Network, Overlay Network, VM Data Network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.

3-3. Storage Network

블록 스토리지용 네트워크로 Compute Node와 스토리지 간에 연결되어 있습니다.

3-4. External Network

Horizon 접속 또는 유저들이 VM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로 Network 및 Control Node 간에 연결되어 있습니다.

 


4. 설정 방식으로 구분

그런데 네트워크를 Neutron 상에서 설정하기 위한 방식으로 나눌 수도 있습니다.

1. Provider Network

서비스하는 사람이 구축한 네트워크라는 의미에서 "Provider Network"입니다. 이 네트워크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입니다. 그래서 앞서 이야기한 External Network에 대응합니다.

2. Self-Service Network

사용자가 직접 VM을 위해 구축한 네트워크입니다. Provider Network을 기반으로 GRE, VxLAN 등의 터널링을 통해 구축합니다.